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처갓집양념치킨
- 고양이
- 더화이트치킨 슈프림
- 치킨텐더피자
- NT500R4P
- 슈퍼맨
- 펀샾
- 몰래카메라
- 아빠! 어디가?
- NT500R4P-LD2S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핫 인 클리블랜드
- DubleKiller
- 동영상
- 고양이와 강아지
- IK-KB500
- 8로우피자
- DemonHunter
- 동물
- Superman
- 삼성 노트북5
- EBS
- 영어
- 버라이어티 치즈 피자
- oracle
- 윤후
- 사자
- 언어발달
- Double Jump
- 노트북5
- Today
- Total
목록◆요리 (14)
유자차
알려드립니다 - 가격파괴 검색http://www.kbs.co.kr/2tv/sisa/livetong/notice/index.html [가격파괴 why?][ 생생 정보통 741회 ]10월 30일 수요일 취재◈ 주소 : 인천광역시 서구 연희동 798-1번지http://map.naver.com/local/siteview.nhn?code=33706772☎ 032-427-3200 [생생 정보통 777회] 2013년 12월 24일(화) ◈ : 한우스테이크 13,000원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17-3번지 지하 1층http://map.naver.com/local/siteview.nhn?code=31992278☎ 02-3454-1623 [생생정보통 783회] 2014년 1월 1일 (수) ◈ : 14,000원 ..
⊙ 와인 글래스 다루는 방법 글래스의 형태나 크기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글래스의 청결 상태이다. 특히 샴페인의 경우는 더욱 깨끗해야 한다. 글래스를 닦을 때는 입구를 잡지 말고 손으로 부드럽게 감싼 후 천을 깊숙이 넣은 후 광을 내야 한다. 이때 부분에 힘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 와인 품종에 따른 글래스 선택 1. 리즐링 글래스 글래스의 입구가 넓게 퍼지지 않은 잔으로 와인이 입속으로 부드럽게 들 어 가도록 해 준다. 이 잔은 가볍고 과일향이 강해서 신맛이 많이 나는 와인에 어울리는 것으로 와인을 혀의 가장 앞쪽인 단맛을 느끼는 부분에 닿을수 있도록 해 주어서 와인 향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게 해준다. 이 리 즐링 와인을 입구가 넓은 잔에 마실 경우 리즐링이 입안에 너무나 많이 퍼져서 무척 시다고 느..
08.와인의 시음 방법 ........... 와인을 좀 더 맛있게 마시는 방법..... 우리나라에 처음 오는 외국인에게 여러가지 김치를 대접하면서 어떤 김치가 가장 맛이 있는지 물어보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맛있는 김치가 뭔지 알리가 없죠 마찬가지로 와인을 처음 대하는 사람이라면 매우 좋은 와인을 마시던지 그렇지 않은 와인을 마시던지 별로 차이를 크게느끼지 못하는게 당연한 것입니다 오랜 시간동안 많이 마셔보는 방법밖에 없죠 몇가지 점을 염두해 두고 와인을 마신다면 와인의 맛을 좀 더 알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와인에 알맞은 잔을 선택한다 2. 와인을 적당한 온도로 마신다 3. 필요하면 디캔더에 따라 마신다 와인 잔의 모양 맥주를 머그 잔에 마시는 것보다 유리 잔에 담아 마시는 게 훨씬 ..
07.와인에 대한 짧은 상식 ........... 좋은 와인이란 어떤 것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와인을 평가하는 기준은 '와인이 얼마나 오래되었는가' '프랑스 지방의 것인가 아니면 그 외 지방의 것인가' '샤또(Chateau)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는가', '와인의 등급이 무엇인가' 정도입니다 부분적으로는 맞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좀 더 좋은 와인을 고르기 위해서는 더욱 정확하고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와인을 고르실 때에는 다음 네가지 기준을 염두해 두고 선택하면 좋습니다 바꾸어 말하면 와인의 품질이 다음 네가지 항목으로 대체로 결정되는 것입니다 1. 와인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포도품종 2.포도의 생산지 3. 생산년도(vintage), 숙성정도 4. 각 지방의 와인법에 따른 등급 5. 와인 ..
........... 와인을 보관하는 방법..... 콜라나 맥주가 김새면 정말 마시기 싫어지죠 와인도 보관을 잘 해야 제 맛이 나고 즐겁게 마실 수가 있습니다 맥주는 냉장고에 넣어두기만 하면 되지만 와인은 그렇지 않습니다 맥주의 김이 새는 걸 막기 위한 노력보다는 와인을 보관하는데 드는 노력이 더 클 수 밖에 없겠죠 마시다 남은 와인을 보관하는 방법 모처럼 기분을 내서 와인을 구입했는데 양이 많아서 남길 경우,내 입 맛에는 맞지 않아서 그만 마시고 남에게 주려고 남겨 놓는 경우에는 와인을 어떻게 보관할까요 원칙적으로는 와인을 한번 개봉하면 그 때 다 마셔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그만큼 마개를 벗긴 후에는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죠 와인을 다 마시지 못한 경우에는 코르크 마개를 단단히 닫고 서재나 식당옆..
05.와인의 조제법 ▣ 와인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 김한식저 "현대인과 와인"에서 와인은 싱싱하고 잘 익은 포도를 발효하여 만든 천연 포도주스 이다. 포도로부터 나온 즙과 천연조건이 와인을 만들게 한다. 어떤 과일로도 만들 수 있지만 포도 이외의 과일에는 효모 작용을 돕기 위해 설탕을 첨가시켜야 한다. 포도만이 와인을 만드는데 꼭 필요한 두 가지 성분 즉 이스트와 당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와인 제조에 있어 천연 조건만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와인을 와인답게 하는 것은 인간의 솜씨이다. 와인을 만드는 첫번째 단계는 포도나무의 재배에서 시작된다. 포도나무는 심고 나서 5년이 지나야 상업용으로 쓰일 수 있는 포도가 생산되기 시작하여 85년 정도 계속해서 포도를 수확할 수 있다. 포도나무는 늦가..
04.와인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는가? 와인을 만드는 포도의 종류나, 생산지 이름에 생산자(혹은 양조장)의 이름을 추가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와인이름이 됩니다 로버트 몬다비 카베르네 쇼비뇽(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이라는 와인 이름은 와인 생산자인 Robert Mondavi와 포도 이름인 Cabernet Saubignon 을 합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럽에서는 생산지의 이름을 따서 와인의 이름을 짓고 미국에서는 포도의 이름을 따서 와인에 이름을 붙입니다 물론 유럽와인에도 포도명이 라벨에 표시되고 미국와인에도생산지명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포도의 이름을 따서 와인이름을 지으려면 그 포도가 최소한 유럽국가들(정확히 말하자면 유럽 연합내의 국가들)에서는..
◈ 유럽이외의 다른 생산국가의 특징 유럽과 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않은 새롭게 부각된 와인 국가들은 자신들이 생산하는 훌륭한 와인들을 포도품종에 더 강조 하고 있다. 1960년부터 시작하여 몇 개 나라들은 이러한 와인들의 출처를 보장하는 규정을 법령화 하였다. ▣ 미국 미국은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는 국가들 중의 하나이다. 캘리포니아의 기후와 토양은 좋은 유럽 포도품종으로 높은 품질의 레드와 화이트 와인을 재배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주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는 뉴욕, 워싱턴, 오레곤과 텍사스주가 있다. 미국 와인 재배지들은 1983년에 처음으로 토양과 기후에 따라 지역의 명칭(appellation)을 주는 것으로 좀더 구체화 하였다. 미국은 다양한 범위의 뛰어난 와인들이 생산되는데 특히 화이트 ..
◈이태리 와인의 특징 이태리는 세계에서 와인 생산국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중의 하나 이다. 와인을 생산하는 예술적인 기술은 수세기 동안 발전되어 왔다. 와인의 향기와 맛의 다양성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광범위 하고 포도가 재배되는 지형적인 위치에 따라 중요한 연관을 가지게 된다. 북서부 지역(피드몬트 Piedmonte 지역)은 주로 강한 맛의 레드와인들이 생산되고 반면에 동쪽으로 가게 되면 롬바디아(Lombardia)에서는 아주 가벼운 맛의 와인들을 발견할 수가 있다. 이태리 북동부 지역에서는 화이트 와인들이 생산된다. 최고의 이태리 화이트 와인이 생산되는 지역으로는 트리베네또(Triveneto) 지역이 있는데 레드와인(까베르네, 멜로등)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와인으로 화이트 스파클링 프로..